-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65)
프로그래밍 농장

Linux gcc 는 기본적으로 'TUI'이다. 많이 들어본 GUI(비주얼스튜디오 . .)와 다르게 text 기반의 인터페이스라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아래와 같이 터미널을 열고, vi [파일명.c] 를 입력하여 c파일을 생성해줍니다. 이후 Hello World! 라는 문자열을 출력하기위한 간단한 코드를 작성 후 :wq 로 저장후 나와줍니다. 이후 아래와 같이 gcc hello.c를 입력하여, hello.c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path에 a.out이라는 파일이 생기는데, 이는 hello.c의 실행파일입니다. 이후 ./a.out 을 입력하여 파일을 실행시켜보면, 코드를 입력하였던 결과가 수행되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GCC는 GNU Complier Collection의 줄임말로서, 전에는 C Complier..

현재 사용가능한 shell 리스트 확인하기 -> #cat /etc/shells 현재 작업중인 shell 확인하기 -> $echo $SHELL 로그인 Shell 변경 -> $cat etc/passwd | $chsh

Firewall -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사이에 놓인다. ('일종의 벽') : 약간의 격리 - 네트워크상에 지나다니는 트래픽의 in/out의 정보를 분석 및, 필터링 / 통과 시켜줌 ( 서비스공간을 보호 ) - Network gateway와 co-located 되는것이 일반적 구성 - Network security의 첫번쨰 포인트 ex) -> 유무선 공유기 / windows의 window defender 방화벽의 흐름 : Access control -> Firewall -> Intration detection -> nw security attacks -> SSL/TLS 방화벽(Firewall)은 외부침입을 원천적으로 봉쇄한다는것이 아니라, 그 과정을 늦추고, 귀찮게 하는것이다. - Checkpoint : ..

Virtual Memory -> 하드디스크들에 있던것들도 실행되면 메모리에 올라가며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 프로그램이 시스템상에서 항상 동시에 돌아가는것이 아니다 : 시간별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나누어보았을떄, 생각보다 많지않을것이다. -> 전체프로그램보다는 적은 메모리를 가지고있지만, 그떄그떄 필요한 메모리만 올리면 되기에 램(메모리) 자체의 크기가 클필요가 없다. -> 위와 같이 메모리에 올려주는것을 커널이 하며, 이를 메모리 메니지먼트라고하며, 이부분이 'Virtual Memory' 라고한다. - 초기의 프로세싱 방법 ( 비효율적 . . ) - Batch 프로세싱 ( 한번에 프로그램들을 묶어서 작업 ) [ 커널모드 / 유저모드 ] 이떄까지는 컴퓨터가 얼마의 용량(메모리)인지를 알고 그에 맞춰서 ..

- 접근통제 ( Access control ) : 객체(Object) : 접근 대상 ( 시스템, 서비스 ) : 주체(Subject) : 객체나 객체 내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요청/시도하는 개체 : 접근(Access) : 주체의 객체에 대한 활동 접근통제의 개념 : 주체(외부에서 접근하는 사람, 시스템)가 접근 대상이 되는 객체(시스템)에 접근할 떄 보안상의 위협, 변조 등과 같은 위험으로부터 객체와 제반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보안대책 - 접근통제/접근제어 (Access control)의 4단계 절차 1단계 : 식별 (Identification) : 매칭작업 (사용자이름, 계정번호 . .) : 접근하려는 주체의 신원을 분별하는 단계 2단계 : 인증 (Authentication) : 검증작업(패스워드, 스..

Deadlock ? -> 프로세스들이 서로 unlock이 연상되기를 기다리면서 트랜잭션의 수행을 중단하고 있는 상태이다. ' 교착상태 ' -> Necessary conditions for deadlock ( 데드락이 생길수 있는 4가지 조건 ) : Mutuaal exclusion : 하나의 리소스를 어떤 프로세스가 장악하면 다른건 사용불가 : Hold and wait : 프로세스가 cpu를 장악시, 끝날떄까지 다른건 사용불가 : No preemption : 프로세스가 cpu를 장악중일시, 누군가 뻇는것이 불가능 : Circular wait : 리소스의 스레드가 필요로 하는 사이클이 있음 ( 서로 필요한 리소스가 다름, ( 연관이있음 ) ) -> 이 중 하나라도 만족하지못하면 쉽게 데드락이 풀림 아래그림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