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IT 관련 정보 (22)
프로그래밍 농장
최근 가상자산에 대한 관심과 유입이 늘어남과 동시에 여러 개념들이 생겨났다. 그 중 필자가 최근에 들었던 것중 개념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서 간단히 조사후 정리해보았다. 트래블 룰(Travel Rule)이란, 가상자산을 송수신할 떄 송수신자 정보를 수집하여 가상자산 사업자(VASP)간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도록 하는 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규정이다. -트래블 룰 프로세스 -트래블 룰 현황 솔루션 대표 거래소 설명 VerifyVASP 업비트 -두나무 자회사인 람다256개발, 블록체인 기술 미사용 - 가상자산사업자간의 P2P 송수신 방식으로 데이터전송 코드(Code) 빗썸,코인원,코빗 연합 -'R3 코다'라는 블록체인 기반, 해킹으로 인한 변조 위험 방지
I. 게임하면서 돈도 버는, P2E(Play to Earn) 사용자가 게임을 하며 획득한 재화나 아이템이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자산으로 활용되는 모델 특징: 1) 게임과 동시에 수익 활동 가능 2) 소유권을 블록체인에 기록해 사용자에게 소유권을 부여 - P2P 흐름도 ① MarketPlace(게임앱)에 아이템 구입(NFT) ② 게임하면서 아이템 업그레이드 및 점수 획득 ③ 업그레이드 아이템 또는 점수를 게임앱 내부 교환시장에 판매 후 가상화폐 획득 ④ 획득 가상화폐는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한화로 환전 현시점 기준 가장 대표적인 것은 엑시 인피니티, 크립토키티 등이있다. 이외에도 국내회사로는 넷마블f&c, 위메이드가 p2e 생태계를 구축한 바있다. p2e 는 현시점에서 국내는 규제가 적용되어있지만 기존의 과금..
초월(Meta)과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 미국의 비영리 기술연구단체 ASF(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는 2007년 메타버스의 종류를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하나는 아바타와 온라인 프로필 등으로 이용자가 정체성을 가상공간에서 드러내는 '가상세계' 방식입니다. 싸이월드의 미니미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용자의 물리적 환경에 가상의 사물이나 인터페이스를 더한 '증강현실'도 메타버스 서비스의 일종입니다. 이용자가 주변을 스마트폰으로 찍으면 포켓몬스터가 돌아다니는 '포켓몬고'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용자의 주변 환경과 관련된 추가 정보를 더한 '거울세계' 방식도 있습니다. 일례로 구글어스 앱을 켜고 주변 환경을 찍으면 외국어로 적힌 상품명이 자동 번..
Polymorphism(다형성)이 왜 존재하는 것인가? 에 대한 공부를 했을 때 클래스의 가치를 알게된다. 잘 구성된 클래스들은 설계를 복잡하게 만들기는 하지만 유지, 보수, 확장을 할 때 그 진가가 들어 난다. 가끔 개발자의 가장 강력한 무기는 Ctrl+C, Ctrl+V 라고 하는데, 이건 그냥 우스게 이야기 일뿐 잘 구성된 디자인에서는 이런게 필요없다. copy and paste 를 2~3번 하다보면 이걸 폴리모피즘을 이용하면 편하게 수정 가능한 방법을 모색할 수 있고(아니면 템플릿을 이용한 제네릭프로그래밍으로), 그걸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소스를 많이 고쳐야 하지만 일단 수정해 놓으면 추후 유지 보수에 편하다. 사실, C++ 은 C 를 기반으로 문법 위주(기본 라이브러리는 문법의 확장에 비하면 부..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work)란 ?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 줄여서 스프링이라고 불린다. ->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 특정 계층이나 기술, 업무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의 전 영역을 포괄하는 범용적인 프레임워크를 뜻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는 개발의 전 과정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행하는데 일차적인 목표를 둔다. -> 경량급 프레임워크 : 단순한 웹컨테이너에서도 엔터프라이즈 개발의 고급기술을 대부분 사용할 수 있다. -> 엔터프라이즈 개발 용이 : 개발자가 복잡하고 실수하기 쉬운 Low Level에 대한 관심을 줄이고, 비즈니스 로직 개발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오픈소스 : Spring은 오픈소스 기반으로 소스코드가 공개 되어있..
- 프레임워크란 ? 프레임워크란, 소프트웨어의 구체적인 부분에 해당하는 설계와 구현을 재사용이 가능하게끔 일련의 협업화된 형태로 클래스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 프레임워크는 말그대로 '뼈대', '골격' 이라고 할수있다. 개발과정에서 중복되는 작업들이 있을것이며, 이러한 로직들을 정의하고 미리 코드를 짜놓은 다음, 누구나 쉽게 갖다 쓸 수 있도록 정리해놓은 큰 틀이라고할수있다. -> 이러한 프레임워크를 통해 개발자들은 쉽고 빠르게 개발을 할 수 있게 된다 프레임워크는 '라이브러리'라는 것도 포함하고 있는데 , 이는 프레임워크내에서 활용가능한 여러가지 주요 기능을 가져다 쓰기 쉽게 꾸려놓은 것이다. : 남이 미리 짜 놓은 다양한 라이브러리 코드들을 활용가능하다. - 프레임워크가 필요한 이유 시간절약 :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