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Linux (70)
프로그래밍 농장

vsftpd == very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 sftp 보다 + 더욱(very) 안전한 FTP --> redhat linux 기본 FTP 패키지 == 기존 ftp 서비스들에 비해 기능이 향상됨 설정 간편, 데이터 자원 소모적음, 보안성 우수 기존 ftp ) wu-ftpd , tftp , sftp , proftp .... - FTP 서비스 사용자 1)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 /etc/passwd 에서 확인이 가능한 사용자 == 관리자가 허가해준 설정과 권한에 따라서 업로드, 다운로드 가능 2) 시스템에 등록되어있지 않은 사용자( anonymous ) == 익명사용자 == 보안상 기본적으로 업로드 금지( 바이러스등,.. 익명성의 특성떄문) 1. cmd 창..

DHCP Server 를 구성해보자 . == server , client 기본 설정 완료 상태로 돌린 후 작업 실시하기 -조건 -server :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 안에 있는 모든 내용 삭제 1. dhcp server network 설정을 CLI 환경에서 설정 진행 후 DHCP 서비스 구성하기 2. dhcp 서비스 구성 후 client 에서 정상 할당 확인, 일반 할당 확인 후 예약 할당 까지 작업해볼것 . 풀이: 1. server :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 안에 있는 모든 내용을 삭제했기떄문에 아래와 같이 내용들을 추가해준다. 이떄 주소는 본인의 ip에 맞게 채워준다. TYPE=Ethernet..

- DHCP란? -> IP 자동할당 서비스 == client 나 다른 TCP/IP 기반 장비에게 IP주소를 제공하는 서비스 == IP주소와 함께 게이트웨이(G/W) ,DNS 등 네트워크 자원에 연결할 수 있는 옵션 정보를 제공 == DHCP client 에게 특정 기간 IP 주소를 임대해주며, 갱신 요청시 ip 주소 갱신 작업 == DHCP server (udp,67) , DHCP client(udp,68) 포트를 사용함. - DHCP 동작과정 1. Discover == client 가 server를 탐색 ,주소를 요청 2. Offer == server 가 client 에 응답, 할당 주소를 제공 3. Request == client 가 다시 server에 IP주소 사용에 대한 승인 4. Ack == s..
1. telnet server 구성 -> 윈도우 cmd 창에서 본인 리눅스 서버로 telnet 접속 확인 --> yum -y install telnet* -->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23/tcp --> firewall-cmd --reload --> systemctl restart telnet.socket 입력후 cmd 창에서 telnet [ ip ] 로 윈도우 -> 리눅스 원격접속된것 확인가능 =================================================================== 2. vnc server 구성하기 사용자 생성 : vuser1 , vuser2 --> vuser1 사용자에게는 5번 디스플레이번호 지정 --> vuse..
6.x 까지는 /etc/sysconfig/vncserver 파일에서 설정 7.x 부터는 서비스 설정 파일을 복사해서 설정 진행 ex) cp /lib/systemd/system/vncserver@.service /etc/systemd/system/vncserver@:6.service ==허용할 디스플레이번호를 가진 서비스 파일로 복사 ==복사해준 서비스 설정 파일 편집 ( vi 에디터 ) 43번라인 : ExecStart=/usr/sbin/runuser -l -c "/usr/bin/vncserver %i" 44번라인 : PIDFile=/home//.vnc/%H%i.pid == 를 디스플레이번호를 허용시킬 사용자 명으로 편집하기 ( 도 삭제할것 ) == su - [계정명] 형식으로 사용자 전환 후 vncpas..

이전에 우리가 공부했던 telnet 과 ssh 서비스는 텍스트 환경의 원격 접속 서비스였지만, 지금부터 배울 VNC ( Virtual Network Computing ) 은, 그래픽 환경의 원격 접속 서비스이다. VNC의 특징 --> 설치가 간편, 특별한 설정 없이 사용이 가능 . --> 시스템 앞에 있는 것과 같은 해상도 제공 . --> 마찬가지로 리눅스에서 이 VNC기능을 사용하고싶다면 관련 패키지를 설치해주어야한다 ( YUM ..이용) 패키지 설치 : yum -y install tiger* 이후, vncserver 를 입력하여 vnc환경에 접속하기위해 입력해보면 pw설정창이 나올것이다 . 이떄부터 접속 패스워드 설정 --> 디스플레이(세션)번호 확인 (1번 ) Creating default con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