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60)
프로그래밍 농장

# 항상 영역정의한 파일이름과 실제 파일이름이 같은지 확인해주어야한다 안그러면 systemctl restart named 를 실행시 오휴가 뜬다 + 추가로 아래와 같이 www.koreait.com. 외에 domain name은 같고 앞의 host 만 다른 파일들을 추가해주고싶다면, 아래와 같이 정방향파일과 역방향파일에서 ip를 맞춰서 넣어주면된다. ----------------------------------------------------------------------------------------------------------------------------------- 방화벽 설정 ㅣ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dns | firewall-cmd --r..

DNS ( Domain Name Service ) == 이름 풀이 서비스 ->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문자 형태의 도메인 시스템에서 인식하고 사용하는 숫자 형태의 IP주소로 변환 - 도메인 탐색순서 ex) www - naver - com .( root domain ) zone 옆에는 Domain Name 만 작성 type master; --> 네임서버의 타입정의 :1차 네임서버 ( 주 네임서버 ) / 2차 네임서버(보조네임서버 : slave(=백업서버 ) file "test.co.kr.zone"; allow-update { any; }; --> 동적인 update 작업을 하겠다는 뜻 allow-transfer { any; }; --> 영역 전송 허용 }; - vi test.co.kr.zone ( 도메인주소..
samba 사용자 생성 ( samuser1 , samuser2 ) --> useradd 로 일반사용자 생성 --> samba 사용자로 전환 ex) smbpasswd -a samuser1 / smbpasswd -a samuser2 1. HDD 추가 ( 1GB , SCSI ) 후 파티션 200,300,500M 로 파티션 3개 생성 2. 자동마운트 ( vi /etc/fstab ) 을 통해 각 3가지 파티션들을 디렉토리를 생성하여 마운트 진행 + mkfs.xfs /dev/sdb1 ... --> 포멧도 진행해주기 3. 이떄 각 디렉토리들은 위 조건들에따라 samba설정에 넣을 주소로 생성후 마운트진행. ( ex) user all ) 4. yum -y install samba* 로 삼바 프로그램 설치하기 5. sa..

-samba --> 리눅스와 타 시스템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해서 사용하는 서비스 --> 유닉스 계열 , 비유닉스계열에서 사용가능 : 즉 , 서로 다른 OS간의 공유 (nfs 의경우 유닉스/리눅스계열에서의 연결) *하드웨어 공유 == 프린터, CD-ROM 같은 하드웨어 자원 공유 *백업 시스템 가능 == 서로 다른 시스템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기 떄문에 타 시스템의 백업 서버로도 활용 가능 - samba 서비스 관련 프로토콜 SMB ==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텔이 윈도우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의 디스크와 프린터 같은 자원을 공유 할 수 있도 록 개발된 프로토콜 == netbios 프로토콜 지원, 윈도우를 사용한 공유 시스템에 필요한 프로토콜 netbios == 윈도우 컴퓨터들끼리의 자료 교환에 필요한 프로토콜 (..

nfs 종합 실습예제 ) server , client == 기본상태로 리눅스 시스템 2대를 부팅후 진행. 1. 한쪽을 nfs server 다른 한쪽을 nfs client 역할로 설정할 것 . 2. normal nfs, autofs 연결 작업을 할 것 . 3. 파티션, 마운트포인트 자유 , 본인 마음대로 ! ex) HDD ( 1GB ,SCSI ) --> 500M , 500M 500M -> normal nfs 500M -> autofs 문제점 1

autonfs == 재부팅후에도 nfs 연결이 유지된다. ==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언마운트 , 사용할 경우 자동을 ㅗ마운트 == autofs 서비스 설정은 client 에서 진행 - 관련 파일 1) /etc/autofs.conf == autofs 설정 파일 8번 라인 master_map_name = auto.master 15번 라인 timeout =300 --> 이시간동안 작업이없을경우 연결해제 51번 라인 browse_mode --> client 의 mount point 를 표시해줌 2) /etc/auto.master == autofs 서비스는 client의 mount point 가 자동으로 구성 == 기본적으로 7번 라인에 정의된 /etc/auto.misc 파일의 내용으로 /misc 경로에 자동으..